본문 바로가기

도서관

게임QA 조직 구성 - SM(Service Management) / QA / GM



QA팀은 어느 조직에 포지셔닝 하느냐에 따라 담당하는 업무가 크게 달라집니다.

※ QA팀의 포지셔닝 예
     - 기획팀에 포지셔닝
     - 프로그램팀에 포지셔닝
     - 운영팀에 포지셔닝
     - 독립부서에 포지셔닝


그러나, 보통 일반적인 경우에서는 운영팀에 포지셔닝 하는 경우가 많고,
회사에 따라서는 GM 에서 QA 업무를 병행하는 곳도 있습니다.

운영안에 QA 와 GM 을 묶는 경우에는
SM(Service Management) 조직 을 별도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,
이런 경우 각 조직의 포지셔닝에 대한 조직 기안 샘플을 보여 드리겠습니다.

조직을 새로 구성하려는 분이나,
QA 유관 부서의 차이가 궁금하신 분에게는 참고가 될것 같습니다.


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




 
목차

1. SM 조직 소개
    1-1. 조직 개요
    1-2. 조직 구조

2. SM 파트 소개
    2-1. SM - GM 파트 소개
        2-1-1. GM 파트 소개
        2-1-2. GM 직무 소개 (운영 기획)
        2-1-3. GM 직무 소개 (모니터링)
        2-1-4. GM 직무 소개 (고객 응대)
        2-1-5. GM 직무 소개 (분석)
        2-1-6. GM 핵심 역량
    2-2. SM - QA 파트 소개
        2-2-1. QA 파트 소개
        2-2-2. QA 직무 소개 (테스트)
        2-2-3. QA 직무 소개 (기본 테스트)
        2-2-4. QA 직무 소개 (기능 테스트)
        2-2-5. QA 직무 소개 (하드웨어 테스트)
        2-2-6. QA 직무 소개 (피드백)
        2-2-7. QA 직무 소개 (분석)
        2-2-8. QA 직무 소개 (관리 및 지원)
        2-2-9. 버그 처리 프로세스
        2-2-10. 테스트 / 서비스 프로세스
        2-2-11. QA 핵심 역량
    2-3. SM - SM 파트 소개
        2-3-1. SM 파트 소개
        2-3-2. SM 직무 소개 (서비스 관리)
        2-3-3. SM 직무 소개 (개발 관리)
        2-3-4. SM 직무 소개 (채널 관리)
        2-3-5. SM 핵심 역량

3. SM Vision
    3-1. 업무 / 직무 개발 방향 (업무 역량 / 직무 역량)
    3-2. 인사 원칙

 

1. SM 조직 소개

1-1. 조직 목표
 □ 개발부와 사업부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 요소를 해결하는 것
 □ 이를 통해 적기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익을 최대화 하는 것

1-2. 개별 파트 목표
 □ SM 조직은 SM 파트, QA 파트, GM 파트로 구성
 □ SM 파트는 게임이 서비스 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사항을 처리함
 □ QA 파트는 게임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사항을 처리함
 □ GM 파트는 게임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사항을 처리함

2-1. 조직 구조
 □ 크게 3개의 파트로 나뉘며, 담당 서비스 별로 나뉨.
 

2. SM 파트 소개

2-1. SM - GM 파트 소개

1-1. 목표
□ Game Master - 게임 진행자, 조정자, 관리자의 의미를 갖고 있다.
□ 공정하고 투명한 운영을 통해 게임 서비스에 대한 고객의 만족도를 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 게임의 브랜드 가치를 향상시킨다.

1-2. 주요 직무
□ 게임 운영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처리한다.
□ 주요 직무는 [ 운영 기획 / 고객 응대 / 모니터링 / 게임 분석 ] 으로 분류한다.

2-1. 직무 소개
□ 체계적인 운영 업무를 위하여 정책 및 관련 시스템 등을 기획한다.
□ 기획에 형태를 부여하여 실제 업무에 적용 ▷ 업무 Quality와 효율성을 높여 안정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.

2-2. 운영 기획
□ 게임 서비스 운영 방향성 제시
   - 게임 운영 전반에 대한 중/단기 목표치 설정   - 고객 만족도 향상에 대한 게임 운영 방향성 제시
□ 정책 기획
   - 운영 방향성을 고려한 내부 정책 기획
   - 국가에서 지정한 게임 관련 법을 고려한 외부 정책 기획
   - 운영 정책 보완 및 수정 (수립된 운영 원칙에 대한 지속적인 논의 및 TFT)
□ 시스템 기획
   - 운영에 필요한 각종 시스템 기획 (운영 툴, 모니터링 툴 등)
   - 시스템 유관 부서와 협력, 조율하여 결과물 도출

3-1. 직무 소개
□ 고객 문의, 신고, 클레임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.
□ 정확하고 공정한 응대 서비스 제공 ▷ 회사와 고객간, 고객과 고객간의 혼선을 최소화하며 고객 만족을 향상시킨다.

3-2. 고객 응대
□ 일반 문의 처리
  - 일반 게임 문의나 건의, 버그 등에 대한 문의 처리
  - 기본적으로 1:1 문의로 접수를 받고 처리하나, 운영 여력에 따라 공개 게시판을 통해 응대할 수 도 있다.
□ 신고 문의 처리
  - 계정도용신고, 불량이용자신고 등 각종 신고 문의 처리
  - 민감한 내용이니만큼 1:1문의로만 신고접수를 받으며,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공정하고 정확하게 처리한다.

4-1. 직무 소개
□ 서버 현황, 공식 홈페이지 및 팬 홈페이지 게시판 동향에 대해 모니터링 하여 분석 자료를 수집한다.
□ 서버 및 게시판 모니터링으로 안정된 서버 상태를 유지하여 서비스 장애를 최소화한다.

4-2. 모니터링
□ 실시간 현황 파악 및 문제 해결
  - 서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서비스 장애를 최소화한다. (서버 다운 등)
  - 홈페이지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고객 불편함을 최소화한다. (게시판 도배, 불법 광고 등)
□ 분석 자료 수집
  - 게임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한다.
  - 수집 경로: 서버 모니터링 툴 및 로그 툴을 통해 수집하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동향 부분은 공식 홈페이지 및 유관 홈페이지에서 수집한다.

5-1. 직무 소개
□ 게임의 서비스 상태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분석업무 ▷ 서버 상태, 아이템 수치 등의 분석, 고객 동향의 분석 등이 포함된다.
□ 도출한 자료를 가치판단을 위한 자료로 재 가공하여 관련 부서에 제공 ▷ 이를 통해 균형 있고 발전적인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도모한다.
5-2. 게임 분석
□ 게임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, 게임사의 특이점을 분석한다.

6-1. 포지션
□ GM파트의 핵심 역량 포지션은 비즈니스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다.
   - GM 주요 직무인 고객 응대, 운영 기획 등 서비스 업무는 회사와 고객간에 발생할
     수 있는 혼선을 막고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최소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.
     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충분한 비즈니스 역량이 요구된다.
   - 고객의 반응에 대한 피드백을 하기 위해 개발 및 QA 업무와의 협조가 필요한 만큼
     유관 부서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역량이 요구된다.

6-2. 필요 역량
□ 기본 필요 역량
   - 게임 산업 전반에 대한 이해 및 MMORPG 게임에 대한 충분한 경험 보유
   - 기본적으로 고객 서비스 마인드가 갖춰져야 하며, 공정한 윤리의식이 갖춰져야 함
□ 주요 직무 별 필요 역량

 
2-2. SM - QA 파트 소개

1-1. 목표
□ Quality Assurance – 품질 보증의 의미를 갖고 있다.
□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게임의 완성도를 높여 품질을 향상시킨다. 궁극적으로는 게임의 브랜드 가치를 향상시킨다.

1-2. 주요 직무
□ 게임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모든 검증
□ 주요 직무는 [ 테스트 / 피드백 / 관리 ] 로 분류한다.

2-1. 직무 소개
□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가지 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표 요구
□ 상황에 맞는 전문 테스트를 수행하여 안정성에 해당하는 모든 결함을 제거한다.

2-2. 테스트 종류
□ 기본 Test: 반드시 체크되어야 할 기본 테스트 케이스를 바탕으로 매 버전이 나올 때 마다 반복하는 테스트
□ 기능 Test : 특정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을 때, 해당 기능의 작동여부를 집중적으로 확인하는 테스트
□ 하드웨어 Test : 하드웨어 사양이나 OS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와 성능차이를 확인하는 테스트
□ 필드 Test (Play Test) : 유저와 동일한 상황을 가정하여 게임 안에서 직접 플레이 해보는 테스트. 밸런스 테스트도 여기에 포함된다

2-3. 테스트 목표
□ 버전 업데이트로 인한 위험 요소를 제거한다.
   대부분의 파일은 목적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고리가 있다. 이 중에 하나라도 위험 리스크를 안고 있다면 연결고리를 타고 다른 파일에까지
  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,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업데이트 사전 기본테스트를 수행한다.
□ 패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제거한다.
  복잡한 패치 과정을 진행하면서 파일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패치 완료 후, 기본테스트 수행 요구됨.

3-1. 테스트 목표
□ 게임 버전의 안정성을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

3-2. 테스트 시점
□ 테스트 시점에 따라 바뀌는 목적: 테스트 시점에 따라 테스트 목적이 다름
  - 패치 전 테스트 : 패치를 해도 될 것인지에 대한 안정성 확인 및 업데이트 내용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
  - 패치 후 테스트 : 패치 작업에서 문제가 없었는지 안정성 테스트

3-3. 체크 리스트
□ 안정성 기준 체크 :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에 대한 기본 테스트 항목 선별
□ 업데이트 사항 체크 : 패치 목적인 업데이트 사항을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 항목 선별
□ 각 기능의 테스트 항목은 경우의 수에 따라 중복 테스트가 없도록 하며, 다른 기능과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서도 고려한다.
□ 기능의 추가 또는 삭제로 항목 리스트에 변동이 있을 수 있다.

3-4. 테스트 시트 예
□ 기본테스트의 테스트 시트는 버전 별 기록 될 수 있도록 작성한다.

4-1. 테스트 목표
□ 기획 피드백 및 기능 테스트 시트 작성
  - 기획 문서에 보완해야 할 점은 없는지 피드백 한다. 피드백 결과 최종 산출된 기획서에 따라 테스트 시트를 작성한다.

4-2. 프로세스

□ 기획 피드백 및 기능 테스트 시트 작성
  - 기획 문서에 보완해야 할 점은 없는지 피드백 한다. 피드백 결과 최종 산출된 기획서에 따라 테스트 시트를 작성한다.
□ 기능 테스트 수행
  - 해당 기능이 업데이트 되면, 기획 문서 및 테스트 시트에 따라 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.
    테스트 결과는 각 담당자에게 피드백 한다.

4-3. 기능 테스트 예
□ 기능 테스트 시트 예

5-1. 테스트 목표
□ 하드웨어적 안정성과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함
□ 게임 이용자에게 정확한 권장 사항 정보를 알려주기 위함

5-2. 프로세스
□ 테스트 준비
  - 테스트 특성상 다른 테스트에 비해 하드웨어 부품, OS 등의 준비물이 많이 필요할 수 있다.
  - 최소한의 준비물로 정확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하다.
  - 테스트 환경 세팅 시 PC 부품이 부족한 경우, 물품 구매 및 대여 신청 시 일정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
□ 테스트 수행
  - 준비된 테스트 도구 및 툴을 이용하여 테스트 수행
  - 체크리스트에 따라 수행 되며, 여기서 산출된 결과물은 테스트 보고서의 증명 자료가 된다.
□ 결과 보고
  - 보고서 (테스트 결과물 첨부) 보고 및 피드백

5-3. 테스트 시트 예
□ 테스트 보고서 겸 테스트 시트 예

6-1. 피드백 목표
□ 피드백은 변화와 성장의 액션을 자극시켜 업무 능력을 향상시킨다. 결과적으로 결과물의 질적 향상을 이끌어낸다.
□ 대부분의 피드백은 테스트, 분석, 프로세스 진행 등의 업무와 동반되어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.

6-2. 프로세스
□ 개발 및 서비스 프로세스에 따른 주요 피드백 사례

6-3. 피드백 예
□ 피드백 취합 문서 및 건의 피드백 예

7-1. 분석 목표
□ 서비스 목표 지역 및 해당 분야 등 목적에 맞는 시장 현황에 대해 조사 ▷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사하여 문서의 정확성을 높인다.
□ GM 업무의 분석이 현 상태에 대한 1차적 분석이라면, QA 업무의 분석은 근원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2차적 분석에 해당한다.
□ 도출한 자료를 분석 자료로 가공하여 관련 부서에 제공 ▷ 균형 있고 발전적인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도모한다.

7-2. 프로세스
□ 분석 목적과 보고 대상을 확인
   - 분석 목적 인식: 목적에 필요한 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한다.
   - 보고 대상 인식: 분석 보고를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보고의 양식과 의견포함의 수위가 달라진다.
□ 데이터 조사, 수집 하여 규격화
   -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를 조사, 수집 (관련 기관, 회사에서 제공하는 자료 수집, 직간접적으로 플레이 하여 데이터 결과 조사)
   - 수집한 데이터 중 특이점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고 통계화에 적합하도록 규격화 한다.
□ 분석 및 대안 제시
   - 준비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분석한다.
   - 분석 자료에 보고 대상에 맞는 의견(대안)을 추가한다.
□ 요점 정리 및 발표
   - 발표 대상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요점 정리한다. ( 분석 목적 / 대상 / 분석 결과 / 대안 )
   - 발표 ▷ 끝.

7-3. 분석 조사 사례
□ 분석 종류에 따른 분석 사례 소개

7-4. 분석 보고서 예
□ 테스트 보고서 겸 테스트 시트 예 (웹 보드 게임 시장 분석)

8-1. 직무 목표
  □ 개발 및 서비스 등의 자원 관리, 기술적 개발 지원 ▷ 업무 자동화 및 업무 부하 감소
  □ 개인별 전문 영역 적극 활용 ▷ 기본 QA 역량 포함 멀티 플레이 역량 강화 ▷  팀 내 실질적인 전체 역량의 강화
  □ QA 역량에 따라 지원하는 관리 범위나 양이 다를 수 있다.

8-2. 관리 및 지원 예
  □ S/W 자원 관리 지원 : 패치/ 배포 시스템 자동화, 인트라넷 기획 및 제작, 웹 HTML 코딩 지원.. 등
  □ 하드웨어 관리 지원 : 하드웨어 물품 관리, 하드웨어 문제 진단/분석.
  □ 네트워크 관리 지원 : 게임 서비스 네트워크 또는 사내 네트워크 관리, 테스트 서버 관리 등
  □ DB 지원 : 게임 로그 구상 및 항목별로 확인할 수 있는 로그 툴 구축
  □ 서비스 지원 : 업데이트 공지, 게임 매뉴얼, 홈페이지 컨텐츠 제작, 대관업무 수행
  □ 해외 사업 지원 : 해외 로컬라이제이션
  □ 게임 사업 지원 : 게임 소개 PT, 외부용 게임 매뉴얼 및 동영상 촬영
  □ 경영 지원 : 동종 업계 제도 조사 등 각종 자료 조사

8-3. 기술 지원 예
  □ 사내 인트라넷 개발

9-1. 버그 처리 절차
□ 버그는 다음 절차에 따라 처리됨
   (1) 버그 신고 : SM조직을 포함한 관계자는 모두 버그 신고할 수 있다.
   (2) 버그 여부 판단 : 신고된 모든 버그는 QA담당자의 테스트를 거쳐 버그 여부가 결정된다.
   (3) 버그 분배 : QA담당자는 수정할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배정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4) 버그 수정 : 개발자는 버그 수정을 수행하며, 수정된 버그 내역은 최종적으로 QA담당자에게 다시 배정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5) 버그 수정 확인 : QA담당자는 테스트를 거쳐 수정 여부를 확인한다. 수정이 되었다면 해당 버그는 종료시킨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6) 버그 재 수정 요청 : QA담당자 테스트 결과, 수정이 되지 않았다면 마지막 수정 처리자 에게 재 수정을 요청한다.

9-2. 버그 등급 기준
□ 게임 진행에 얼마나 심각한 장애를 주는지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긴다.
   여기서는  A→ B→ C 등급 순으로 나누었을 때 기준을 표시하였다. 이 외에 건의 등급이 있다.
   (1) A 등급 : 크리티컬 버그, 게임 진행 자체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버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서버 다운 버그, 아이템 복사, 클라이언트 다운 현상, 접속 불가 등)
   (2) B 등급 : 게임 자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조속히 수정해야 할 심각한 버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특정 조건에서 클라이언트 종료현상, 유저사용 핵, 어뷰징, 게임 기능상의 문제, 데이터 꼬임 등)
   (3) C 등급 : 게임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고, 불편 요소로 처리되는 버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그래픽 이상, 오타, 설정에 맞지 않는 부분, 자잘한 싱크 문제 등)
   (4) 건의 : 게임에 대한 건의

10-1. 테스트 프로세스 (표)

11-1. 포지션
□ QA 파트의 핵심 역량 포지션은 기술적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다.
   - QA는 개발, 사업, 고객과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업무가 진행되므로,
     개발 및 사업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서비스에 대한 마인드를 기본으로 하는
     의사소통역량이 무엇보다 많이 필요하다.
   - QA 기본 업무인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각종 툴이나 시스템에 대한
     기술적 역량이 요구된다.

11-2. 필요 역량
□ 기본 필요 역량
   - 타 부서와의 피드백 업무가 많은 만큼 개발 및 서비스(운영 등)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
   - 기본적으로 게임 테스트를 12시간 이상 연속 수행할 수 있는 체력과 집중력이 필요하다.
□ 주요 직무 별 필요 역량

 
2-3. SM - SM 파트 소개

1-1. 목표
□ Service Manager - 서비스 부문 업무 전반을 총괄한다.
□ 전 방위적으로 게임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관리하고 개선한다.  궁극적으로는 게임의 브랜드 가치를 향상시킨다.

1-2. 주요 직무
□ 개발 및 서비스 부문에 원활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
□ 주요 직무는 [ 서비스 관리 / 개발 관리 / 채널 관리 ] 로 분류한다.

2-1. 직무 소개
□ QA / GM 관리
   - QA 및 GM 각 서비스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개선하여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킨다.
   - QA 파트와 GM 파트간의 업무 혼선을 막고 체계적인 서비스 업무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.
□ 서비스 계획
   -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하여 기존 서비스 체계를 개선시키거나 새로 필요한 서비스를 구상, 계획하고 추진한다.
   - 패치/배포 시스템, 게임 상용화 지원 시스템, 웹 서비스 시스템 등
   -게임 개발 프로세스에서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 시점에서부터 서비스 종료가 있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.
□ 개발 상태 체크 및 보고
   -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부분을 인지하고 진행 상태를 상시 체크하여 개발 일정 및 인력 낭비가 없도록 한다.
   - 개발 상황에 대해 총체적으로 기록 보고함으로써  온 타임 (On-time) 런칭 및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.
   - 개발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상반되어야만 한다.
□ 사업 목표의 개발 적용
   - 사업 목표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사업 내용이 개발 일정에 포함될 수 있도록 조율한다.
   - 사업 목표 수립 시, 개발상의 특이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조율한다.
□ 외부 업체 채널 관리
   - 게임 런칭에 필요한 외부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한다.
   - 계약의 협의, 검토, 연락채널을 담당하여 개발과 사업부서의 불필요한 혼선을 방지한다.
□ 사업 부서 채널 관리
   - 게임 런칭에 필요한 내부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한다.
   - 홈페이지, 시스템, 각종 기안을 협업하여 게임 서비스에 필요한 각 부분들을 개발에 지원한다.

3-1. 포지션
□ SM 파트의 핵심 역량 포지션은 창작적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다.
   - 서비스, 개발, 채널 관리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
     필요하며 이를 조율할 수 있는 의사소통 역량이 요구된다.
   - 서비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계획 실현을 위한 추진력이 필요하다.
     또한 본인이 원하는 서브 업무를 스스로 결정하여 맡으며 비전 역시 스스로 개척하기
     위한 창작적 역량이 요구된다.

3-2. 필요 역량
□ 기본 필요 역량
   - 서비스, 개발, 채널 부분에서 관리자의 역량을 갖고 있어야 한다.
□ 주요 직무 별 필요 역량
 

3. SM Vision

1-1. 업무 역량

1-2. 직무 역량
□ 직무 별 핵심 역량 비교
   - GM : 비즈니스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요구
   - QA : 기술적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요구
   - SM : 창작적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요구
□ 역량 구분
   - 창작적 역량 :  능동적인 업무 처리 능력
   - 기술적 역량 : 각종 서비스, 개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 역량
   - 비즈니스 역량 : 고객 서비스의 마인드를 갖고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역량
   - 의사소통 역량 : 타 부서와의 조율,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 할 수 있는 역량

2-1. 내부 선발 우선
  필요 역량 기술에 대한 내부자 역량 체크 -> 내부 역량을 최대한 활용, 발전시킨다.

2-2. 장래 희망 우선
  본인의 10년 장기 계획 수립 -> 장기 계획에 맞는 업무 선정 -> 본인의 비전과 회사의 비전 일치하도록 한다.

2-3. 서브 업무 진행
  필요한 업무 리스트 확보 -> 본인의 비전에 맞는 기술의 개발 -> 회사의 필요와 자발적 참여의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.